서현일보 한예원 기자 | 서울 성동구가 서울시와의 협의를 거쳐 민방위 경보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왕십리도선동 공공복합청사 옥상에 신형 경보사이렌 1대가 설치되는 성과를 이끌어냈다고 밝혔다.
이번에 경보사이렌이 신설된 왕십리도선동은 지난 2023년에 실시한 ‘민방위 경보 가청률 조사’에 따라 난청 지역으로 확인된 지역 중 하나다. 2023년 당시 북한 정찰위성 발사로 인해 서울시 일대에 사이렌이 울렸을 때 일부 지역에서 청취가 어렵다는 민원이 다수 발생해 구는 서울시에 조사를 요청한바있다.
이후 구는 민방위 경보음 난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체 가청률 현장 조사 결과를 토대로 경보사이렌 관리주체인 서울시에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시하는 등 신규 설치를 지속적으로 협의해 왔다.
그 결과, 지역 내 대단지 아파트가 밀집한 지형적 특성으로 경보 수신이 어려웠던 왕십리도선동 일대가 신규 설치 대상지로 선정됐다. 이로써 성동구는 총 7개의 경보사이렌을 운영하게 되어, 민방위 경보 가청 환경이 보다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민방위 경보사이렌은 민방공 사태나 대형 재난 발생 시 경보 방송과 대피 안내, 긴급 상황 전달 등에 활용되며, 평상시에는 산불예방, 태풍 예보, 하천 범람 경고 등 계절별 안전 정보 전파에 활용된다.
아울러, 구는 마장동 등 여전히 난청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는 일부 지역에도 경보 사이렌이 추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서울시와 협의를 이어 나갈 계획이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전파할 수 있는 민방위 경보 사이렌은 빈틈없는 국가안보 및 비상대비태세 확립을 위한 필수적인 시설”이라며 “앞으로도 민방위 경보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난청 지역에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말했다.